백준(Python) 풀이 477

백준(Python) 5086번 배수와 약수 풀이

Python으로 구현한 5086번 배수와 약수 문제 풀이입니다. 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5086 5086번: 배수와 약수 각 테스트 케이스마다 첫 번째 숫자가 두 번째 숫자의 약수라면 factor를, 배수라면 multiple을, 둘 다 아니라면 neither를 출력한다. www.acmicpc.net while True : a, b = map(int, input().split()) if a == 0 and b == 0 : break if b % a == 0 : print("factor") elif a % b == 0 : print("multiple") else : print("neither") a와 b를 입력받고 두 수가 0이라면 종료한다. 그렇지 않으면, 조건문을 통해 ..

백준(Python) 2914번 저작권 풀이

Python으로 구현한 2914번 저작권 문제 풀이입니다. 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2914 2914번: 저작권 창영이는 노래 여러 개를 이어서 부르는 가수이다. 유명한 노래의 비슷한 멜로디를 이어서 부르면서 언제 곡이 넘어갔는지 모르게 만드는 것이 창영이 노래의 특징이다. 이런 노래로 상업적으 www.acmicpc.net a, i = map(int, input().split()) print(a * (i-1) + 1) a와 i를 입력받고 평균값(i)는 소수에서 올림한 정수값이기 때문에 a * (i - 1) + 1 로 계산하여 출력한다.

백준(Python) 2525번 오븐 시계 풀이

Python으로 구현한 2525번 오븐 시계 문제 풀이입니다. 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2525 2525번: 오븐 시계 첫째 줄에 종료되는 시각의 시와 분을 공백을 사이에 두고 출력한다. (단, 시는 0부터 23까지의 정수, 분은 0부터 59까지의 정수이다. 디지털 시계는 23시 59분에서 1분이 지나면 0시 0분이 된다.) www.acmicpc.net a, b = map(int, input().split()) c = int(input()) a += c // 60 b += c % 60 if b >= 60 : a += 1 b -= 60 if a >= 24 : a -= 24 print(a, b) 입력받은 a에 요리하는 데 필요한 시간(c)를 60으로 나눈 몫으로 다시 갱신하고..

백준(Python) 11051번 이항 계수2 풀이

Python으로 구현한 11051번 이항 계수 2 문제 풀이입니다. 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1009 1009번: 분산처리 입력의 첫 줄에는 테스트 케이스의 개수 T가 주어진다. 그 다음 줄부터 각각의 테스트 케이스에 대해 정수 a와 b가 주어진다. (1 ≤ a < 100, 1 ≤ b < 1,000,000) www.acmicpc.net def factorial(x) : result = 1 for i in range(2, x + 1) : result *= i return result n, k = map(int, input().split()) value = factorial(n) // (factorial(n-k) * factorial(k)) print(value % 10007..

백준(Python) 1676번 팩토리얼 0의 개수 풀이

Python으로 구현한 1676번 팩토리얼 0의 개수 문제 풀이입니다. 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1676 1676번: 팩토리얼 0의 개수 N!에서 뒤에서부터 처음 0이 아닌 숫자가 나올 때까지 0의 개수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. www.acmicpc.net def factorial(x) : value = 1 for i in range(2, x + 1) : value *= i return value n = int(input()) result = str(factorial(n)) count = 0 for i in range(len(result)-1, -1, -1) : if result[i] == '0' : count+= 1 else : break print(count) ..

백준(Python) 13458번 시험 감독 풀이

Python으로 구현한 13458번 시험 감독 문제 풀이입니다. 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13458 13458번: 시험 감독 첫째 줄에 시험장의 개수 N(1 ≤ N ≤ 1,000,000)이 주어진다. 둘째 줄에는 각 시험장에 있는 응시자의 수 Ai (1 ≤ Ai ≤ 1,000,000)가 주어진다. 셋째 줄에는 B와 C가 주어진다. (1 ≤ B, C ≤ 1,000,000) www.acmicpc.net n = int(input()) people = list(map(int, input().split())) b, c = map(int, input().split()) result = n for i in range(n) : temp = people[i] - b if temp > 0 ..

백준(Python) 2455번 지능형 기차 풀이

Python으로 구현한 2455번 지능형 기차 문제 풀이입니다. 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2455 2455번: 지능형 기차 최근에 개발된 지능형 기차가 1번역(출발역)부터 4번역(종착역)까지 4개의 정차역이 있는 노선에서 운행되고 있다. 이 기차에는 타거나 내리는 사람 수를 자동으로 인식할 수 있는 장치가 있다. www.acmicpc.net data = [] count = 0 for _ in range(4) : down, up = map(int, input().split()) count -= down count += up data.append(count) print(max(data)) 반복문을 통해 하나의 역에 거칠 때마다 해당 역에서 내린 사람의 수를 빼고 탄 사람의 수..

백준(Python) 1476번 날짜 계산 풀이

Python으로 구현한 1476번 날짜 계산 문제 풀이입니다. 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1476 1476번: 날짜 계산 준규가 사는 나라는 우리가 사용하는 연도와 다른 방식을 이용한다. 준규가 사는 나라에서는 수 3개를 이용해서 연도를 나타낸다. 각각의 수는 지구, 태양, 그리고 달을 나타낸다. 지구를 나타 www.acmicpc.net e, s, m = map(int, input().split()) a, b, c = 1, 1, 1 count = 0 while True : count += 1 if e==a and s==b and m==c : break a += 1 b += 1 c += 1 if a == 16 : a = 1 if b == 29 : b = 1 if c == 20..

백준(Python) 3053번 택시 기하학 풀이

Python으로 구현한 3053번 택시 기하학 문제 풀이입니다. 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3053 3053번: 택시 기하학 첫째 줄에는 유클리드 기하학에서 반지름이 R인 원의 넓이를, 둘째 줄에는 택시 기하학에서 반지름이 R인 원의 넓이를 출력한다. 정답과의 오차는 0.0001까지 허용한다. www.acmicpc.net import math r = int(input()) print(f'{r*r*math.pi:.6f}') print(f'{r*r*2:.6f}') 첫째 줄에 출력해야하는 유클리드 기하학에서의 원의 넓이는 n * n * PI 를 계산하여 해결할 수 있고 두번째 줄에 출력해야하는 택시 기하학에서의 원의 넓이는 n * n * 2 를 계산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. ..

백준(Python) 3046번 R2 풀이

Python으로 구현한 3046번 R2 문제 풀이입니다. 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3046 3046번: R2 두 숫자 R1과 R2가 있을 때, 두 수의 평균 S는 (R1+R2)/2와 같다. 상근이는 정인이 생일 선물로 두 숫자 R1과 R2를 주려고 한다. 생일 파티에서 상근이는 정인이에게 이 두 숫자를 말해주고, 정인이는 www.acmicpc.net r1, s = map(int, input().split()) print(2*s - r1) S = (R1 + R2) / 2 에서 R2를 구하는 문제이다. R2를 미지수로 설정하여 값들을 이항하면 2 * S - R1 이 된다. 위 공식과 같이 코드를 작성하여 최종적으로 결과를 출력한다.